새로운 냉전 구조에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촉발한 새로운 무역 질서가 현실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이 20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을 제치고 한국의 최대 수출 시장(월간 기준)으로 부상했습니다.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 간의 활발한 국제 분업이 균열을 보이는 가운데, 미국 경제의 호황과 국내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 확대가 수치에 반영되었습니다.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미국과의 무역 흑자가 2002년 이후 21년 만에 처음으로 1위로 돌아왔지만, 1993년 한중 수교 이후 흑자를 기록해 온 중국과의 무역은 31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적자는 또한 180억 달러(약 23조 4천억 원)에 달해, 원유 수입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2024년 1월 1일 부산 남구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2월 미국으로의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20.8% 급증한 112.92억 달러(약 14조 7천억 원)를 기록했으며, 미국과의 월간 무역수지(수출-수입)는 50.3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고 1일 발표했습니다. 미국으로의 수출과 미국과의 흑자 모두 월간 최고치입니다. 미국으로의 수출이 중국을 초과한 것은 2003년 6월 이후 20년 6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이는 중국으로의 수출 감소와 동시에 미국으로의 수출이 20% 이상 급증한 결과입니다. 자동차가 미국으로의 수출을 주도했으며, 이어서 휴대폰과 일반 기계류가 뒤를 이었습니다. 지난해 12월, 전년 동월 대비 자동차 수출은 58.4%, 일반 기계는 76.9%, 휴대폰은 38.5% 증가했습니다. 중국으로 대량 수출되는 반도체는 하반기에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주요 추세를 바꾸지는 못했습니다.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등 국내 기업들이 미국 내 반도체, 이차전지, 전기차 공장 등의 시설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다양한 제조 장비, 에어컨 장비, 건설 기계의 수출이 급증했습니다. 조경엽 한국경제학회장은 “201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미국 내 현지 투자 압력이 국내 기업들의 현지 공장 건설로 이어져 수치에 반영되고 있다”며 “공급망 재편으로 인한 수출 유도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세계의 공장이자 시장으로서 중간재인 한국의 반도체와 석유화학 제품을 흡수하던 중국은 내수 부진, 공급망 재편, 자급자족 증가 등의 요인으로 우리 수출 시장에서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미국으로의 수출은 지난 9월 이후 100억 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지난 12월 중국으로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한 109억 달러에 그쳤습니다.
국내 기업들이 중국의 전기차 및 이차전지에 대한 미국의 높은 장벽에서 이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지난해 미국으로의 수출은 전기차를 포함한 자동차 수출 확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혜택을 받은 것을 주도하여 사상 최고치인 1157억 달러(약 150조 3천억 원)를 기록했으며, 무역 흑자도 사상 최고치인 445억 달러(약 57조 8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연간 기준으로 미국으로의 수출은 2005년 이후 18년 만에 처음으로 아세안을 제치고 두 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 되었습니다. 중국과 미국 간의 수출 비율 차이도 2003년 이후 최저 수준인 1.4%포인트로 좁혀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