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유방암과 가공육, 어떤 관계가 있을까?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가공육, 특히 소시지, 햄, 베이컨 등의 섭취가 유방암 발생률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서울대학교 예방의학과와 유방외과, 식품영양학과의 공동 연구팀이 실시한 연구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들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약 10년 동안, 40에서 69세의 여성 7만1264명을 추적하여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놀랍게도, 이 기간 동안 유방암 진단을 받은 환자는 713명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가공육을 자주 섭취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가공육을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먹는 여성은 전혀 먹지 않은 여성에 비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무려 57% 증가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가공육이 유방암과 관련이 있는 것일까요? 연구팀은 가공육에 포함된 질산염과 아질산염이 체내에서 발암물질인 니트로소화합물로 변환되어 유방조직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전적 손상이나 돌연변이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습니다. 또한, 고온에서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여러 독성 물질들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런 가공육을 1군 발암 물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혹시 소고기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이번 연구에서 흥미로운 점은 소고기를 자주 섭취한 여성의 경우 유방암 위험이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즉, 월 2회 이상 소고기를 먹은 여성은 전혀 소비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유방암의 위험이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서구 다른 연구 결과와는 정반대인데, 서구에서는 적색육이 유방암 위험 요인으로 지목된 바 있습니다. 연구팀은 한국 여성의 소고기 섭취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소고기 속의 특정 아미노산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유방암은 한국에서 여성들이 가장 많이 걸리는 암 중 하나로, 매년 약 3만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합니다. 특히 젊은 층에서도 흔하게 발견되며, 한국유방암학회에 따르면 2021년 자료를 토대로 보면 40대와 50대 환자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서구와 비교할 때 상당히 특이한 현상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 서구형 식습관, 음주와 흡연, 운동 부족, 비만, 유전적 요소 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가공육의 과도한 섭취는 유방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건강을 위해 적절한 식이조절이 필요하며, 특히 가공육의 소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소고기와 같은 육류는 적당히 섭취하면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우리 모두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Related Article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Back to top button
error: Content is protected !!